728x90 반응형 건강14 [건강] 정신건강 지키는 법 무엇을 하든 힘들다. 힘들지 않은 건 둘 중 하나다. 내가 회피했거나, 습관이 되어서 고통의 역치가 상승했거나. 힘듦을 견뎌야 하는 건 다 똑같다. 역치를 늘리는 법은 슬프게도 그냥 계속 하는 것밖에 없다. 지금을 그냥 하는 것. 이게 정신건강에 좋다. 어제를 생각하고 내일을 생각하고 그저께를 생각하고 모레를 생각하다보면 머리가 아프다. 미래를 낙관하는 것도 좋지 않다. 받을 상처가 커지기 때문이다.오늘을 살라는 말은 오늘 만을 살라는 뜻으로 곡해하면 안 된다. 말뜻 그대로 받아들이는 게 좋다. 오늘을 어떻게 할 지 오늘만 잘 정리해서 살면 마음 편하다. 정신건강은 그래서 어렵다. 2025. 4. 26. [건강] 한국인의 저주 고혈압과 당뇨, 만성질환은 한국인에게 저주와 같다. 마치 시지프스의 형벌이라고나 할까. 한국인은 재는 것이 없다. 손님에게 상을 낼 때 상다리 휘어지게 내는 이유는 무엇일까. 손님이란 어원을 살펴보면 귀신을 존칭하는 뜻이다. 귀신에게 어찌 될 지 모르니 상을 거하게 차리는 거다. 반찬 두 가지 국 하나 정해서 내놓지 않는다. 우리는 이렇게 딱 자르고 재고 계산하는 민족이 아니다. 어찌됐건 만성질환은 왜 시지프스의 형벌이라고 말했을까. 시도 때도 없이 재야 하기 때문이다. 계산해야 한다. 매 끼니를 어떻게 먹어야 하고, 정해진 칼로리에 맞춰 채소와 단백질 등 식단을 정해야 된다. 또, 어느 일정 강도 이상의 운동을 해야 되고 약도 정해진 때에 맞춰 먹어야 된다. 식후 30분 복용, 일주일에 3번 이상 30.. 2024. 10. 11. [건강] 운동 효과를 높이는 방법 “걷는 것이 도움이 된다”라고 말하는 건 대부분의 사람들이 걷는 것조차 하지 않기에 의사들이 하는 말이다. 그러면 매일 걷는 사람들에게는 어떤 말이 필요할까. 뛰어야 된다. 걷는 건 평소 돌아다닐 때와 큰 차이가 없어 몸에 부하가 적다. 운동효과는 몸에 부하가 가중될 때 나타난다. 그렇다고 매일 일정하게 뛰는 것이 좋을까? 좋다. 하지만 더 큰 효과를 위해서는 내멋대로 해야 된다. 전력으로 달리다가 속도를 줄이거나, 걷다가 갑자기 속도를 낸다거나 패턴이 없어야 된다. 일정 속도로 꾸준하게 뛰는 것보다 몸에 부하가 가해지는 크기가 크기 때문이다. 처음 이렇게 뛰다보면 아픈 곳이 생긴다. 특히 호흡을 깊게 써보지 못한 사람들은 호흡근이 당겨오기도 하고, 무릎 옆쪽이 아프다거나 통증이 생길 수 있다. 그건 자.. 2024. 10. 4. [건강] 건강관리 마인드 점심에는 버터롤, 모닝빵 두세 개 정도 먹는다. 저녁에는 채소와 키위를 먹는다. 채소를 먹을 때는 미친 사람처럼 먹는다. 고개를 휘저으며 맛있다고 되뇌이며 먹는다. 풋내가 나기에 이렇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식단을 극단적으로 줄이니 몸이 가볍다. 본래 음식을 많이 먹지 못한다. 밥 한 공기 정도, 국수와 같이 면류는 좋아하기에 2인분 이상 정도 먹긴 한다. 그렇다고 대식가의 수준은 아니다. 잠깐 괴로우면 되기에 먹는다. 몸이 가벼워진 느낌을 얻었으니 그 때문에 괴로워도 먹는다. 누군가의 시선에서는 건강해지려고 먹는다고 말할 수 있겠다. 몸이 가벼워졌다는 것이 건강과 연결되기는 하니 말이다. 나는 건강이란 대전제를 피하고 싶다. 그저 가벼워졌다는 느낌에 눈을 두려 한다. 부피가 커질수록 마음에 와닿지 않.. 2024. 10. 2. 이전 1 2 3 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