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1610

[에세이] 아이들에게 좋은 교육 아이들을 볼 때가 종종 있다. 배우는 속도가 얼마나 빠른지 볼 때마다 놀라움의 연속이다. 특히 악기와 같은 감각적인 부분을 많이 건드리는 활동에 있어서 학습속도가 굉장히 빠르다. 자녀에게 음악을 가르치는 것은 매우 좋다. 사고력과 암기력 그리고 집중력까지 훈련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글렌 셸렌버그 심리학자는 무료로 예술 레슨을 진행한다는 광고를 내 140명의 어린이들을 모집했다. 네 집단으로 나누어 한 집단은 건반을 치게 했고, 다른 한 집단은 성악을 배우게 했으며 세 번째 집단은 연극레슨을 받았다. 네 번째 집단은 레슨을 시키지 않았다. 성악과 건반치는 법을 배운 아이들은 IQ가 높아졌고 연극레슨을 받은 집단은 레슨을 받지 않은 대조군과 같았다. 음악을 배우면서 집중해서 연습하고 암기해야 하기 때문에 자.. 2023. 6. 8.
[에세이] 고통은 가치 있는 것이다. “내가 세상에서 한 가지 두려워하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내 고통이 가치 없는 게 되는 것이다.” - 도스토옙스키 모든 것에 보상이 존재한다. 그것이 때로는 벌이 되기도 한다. 확실한 건 고통 뒤에는 선물이 따른다. 어떤 경험이건 그 과정은 고통스럽다. 하지만 견디고 나면 변화가 찾아온다. 정신적인 성장이라던가 기술적인 부분이 성장한다. 새로운 건 스트레스다. 뇌가 낯설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익숙한 것에 뇌는 큰 자극을 받지 않는다. 고통이 가치가 없다면 삶의 의미가 모두 부정당하게 된다. 내가 하고 있는 일이 고통만 남고 어떠한 결과도 없다면 살아있을 이유가 없다. 찾아오는 고통은 당연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대부분은 나의 선택에서 기인한 것들이다. 견디기 어렵다면 빠른 포기도 나쁜 건 아니다. 아픔의 .. 2023. 6. 6.
[에세이] 이기적으로 살아야 하는 이유 매일 글을 쓴다. 무슨 말이 그렇게 하고 싶은지 모를 정도다. 글을 쓸 수 있는 건 이기적이기에 가능하다. 내가 나로 가득차있어서 그렇다. 할 말이 많다. 나를 표현하는 방법이 나에겐 글쓰기라서 글을 쓴다. 무언가를 하려면 이기적이어야 한다. 적극성은 거기서 나온다. 이기적인 삶을 살아야 한다. 나를 위한 삶을 살아야 한다. 매일 글을 쓸 수 있었던 건 에고이스트 적인 면이 있어서 가능했다. 나를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고 그런 정신력을 갖출 때 어떤 일이건 뛰어들고 부딪힐 수 있다. 힘을 가지려면 그래야 한다. 나만을 생각하고 나만 바라봐야 한다. 온전히 나에게 힘을 집중할 때 더 발전적인 삶을 살 수 있다. 2023. 6. 3.
[에세이] 성공하지 못한 이유 우리는 각자 자신의 성품을 견뎌야 한다. - 베르길리우스 시 중에서 기질은 부모에게서 물려받는다. 가정환경과 부모의 성향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이는 변할 수가 없다. 성격으로 보완할 수는 있겠으나 본질은 그 어떤 변화도 없다. 그래서 운명을 믿게 된다. 기질에서 오는 한계 때문이다. 사람마다 인생이 다른 이유는 저마다 가지고 있는 기질 때문이다. 본능적으로 자신에게 맞는 선택을 하게 된다. 어떤 이는 리스크가 높은 선택을 하고 다른 이는 안정지향적 선택을 한다. 사회적으로 성공할 수 있는 것도 기질에서 오는 차이 때문이다. 같은 노력을 하더라도 결과가 다르다. 인간사 운의 역할도 크기 때문이지만, 개개인이 갖고 있는 본질적인 특성 때문의 이유도 존재한다. 연예인이나 운동선수처럼 성공하지 못한 것은 그들과.. 2023. 6. 2.
728x90
반응형

"); wcs_do();